쉬어가기/각종 자료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개정

꿈이 필요한 세상 2018. 7. 3. 08:35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개정

(2018. 6. 26. 국무회의 의결, 7. 2. 공포)

공포 즉시 교원에게도 적용됨(교육부 교원정책과-3337. 2018. 6. 26.)

 

Q. 육아시간의 대상 자녀와 사용 시간은 어떻게 변경되었나요?

육아시간 대상 자녀가 만 1세에서 만 5세로, 11시간의 육아시간이 2시간으로 확대되었습니다.

    따라서 만5세 이하의 자녀를 둔 공무원은 1일 최대 2시간의 육아시간이 가능합니다.

 

Q. 남성 공무원도 육아시간 가능한가요?

·가정 양립을 위한 공무원 근무 혁신지침에 따라 2017.3.20부터 남성, 여성 구분 없이 육아시간이 가능합니다.

 

Q. 육아시간 신청 방법은?

육아시간은 복무시스템에 사용 기간과 매일의 사용 시간을 기재하여 일괄 결재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 사용 시간이 변경될 경우는 다시 결재를 받아야 합니다. 수업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근무 시간 중의

    적절한 시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늦게 출근하거나 일찍 퇴근 또는 근무 시간 사용 등)

 

Q. 육아시간은 5년간 사용 가능한가요?

☞  업무의 연속성 확보 및 대체 인력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한 자녀에 대해 24개월의 범위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Q. 자녀 돌봄 휴가의 사유와 일수가 확대되었나요?

☞  자녀 돌봄 휴가의 사유와 일수가 확대되었습니다. 학교(유치원, 어린이집 포함)에서 공식적으로 주최하는

    행사와 상담뿐만 아니라 자녀의 병원진료·검진·예방접종의 경우에도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휴가 일수는 연간 2일입니다. , 자녀가 3명 이상이면 3일로 확대되었습니다.

 

Q. 모성보호 시간 사용 범위가 확대되었나요?

☞  . 기존 모성보호 시간은 임신 12주 이내(~84), 임신 36주 이상(246~)인 경우에만 12시간의 범위에서

     가능했습니다. 7월 이후에는 임신일 때부터 출산 전일 까지 가능합니다.

    병원에서 발급한 증빙서류(진단서, 임신 확인서, 산모수첩 등)를 최초 이용 시 한 번 제출하면

    임신에서부터 출산 전까지 휴식이나 병원진료 등을 위한 모성보호 시간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Q. 경조사 휴가 일수가 어떻게 변경 되었나요?

☞  배우자 출산휴가가 5일에서 10일로 확대되었습니다. 본인 및 배우자의 조부모·외조부모,

    자녀와 그 자녀의 배우자 사망에 대한 경조사 휴가 일수가 2일에서 3일로 확대되었습니다.

 

Q. 연가 일수가 확대되었나요?

☞  재직 기간이 짧은 공무원의 연가가 대폭 확대되었습니다. 재직 기간 1개월 이상 1년 미만의 신규 교사도

    민간과 동일하게 11일의 연가가 가능합니다. 기존의 경우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인 경우 3,

    6개월 이상 1년 미만인 경우 6일의 연가가 가능했습니다.

    1년 이상 2년 미만인 경우 9일에서 12, 2년 이상 3년 미만인 경우 12일에서 14,

    3년 이상 4년 미만인 경우 14일에서 15일로 확대되었습니다. 4년 이상 5년 미만 17, 5년 이상 6년 미만 20,

    6년 이상이면 21일로 이전과 같습니다.

 

Q. 공가 대상이 확대되었나요?

☞  「결핵예방법11조 제1항에 따른 결핵 검진을 받을 때, 노동조합의 정기 대의원대회(1)에 참가하는 경우

    공가로 처리합니다.

 

Q. 같은 자녀에 대해 부부 공무원 모두 육아 휴직한 경우, 육아 수당이 인상되었나요?

☞  . 현재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 모두 육아휴직을 하는 경우,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는 최초 3개월간

    월봉급액의 100%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이때 상한액은 첫째 아이는 150만 원, 둘째 이후는 200만 원이었습니다.

    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이 개정되어 7월부터는 모든 자녀에 대해 상한액이 200만원으로 증액되었습니다.

 

Q. 초과근무 저축휴가제란 무엇입니까?

☞  시간외근무수당의 지급 범위에서 시간외근무수당을 지급받는 대신에 해당 초과근무 시간을 연가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2시간 초과근무를 하였다면 시간외수당 대신 다음에 2시간 일찍 퇴근할 수 있습니다.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개정에 따른 질의·응답.hwp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개정에 따른 질의·응답.hwp
0.15MB

'쉬어가기 > 각종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술사조의 흐름  (0) 2018.01.19
꽃을 보며 즐기는 여행지  (0) 2012.03.30
가훈으로 쓰기 좋은 한자 문구  (0) 2010.11.07
추석 상차림  (0) 2010.09.14
천자문(千字文)  (0) 2010.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