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 법성포 백제 불교 최초 도래지
[백제 불교 최초 도래지]
영광 법성포는 마라난타 존자께서 중국 동진에서 해로를 통해
백제에 입국할 때 최초로 당도하여 불교를 전파하였던 곳이다.
법성포의 백제시대 지명은 '아무포'로서 '아미타불'의 의미를 함축한 명칭이다.
그 후 '성인이 불법을 들여온 성스러운 포구'라는 뜻을 명확히 하여 법성포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처럼 법성포는 불연이 깊은 고장이며,
한국의 불교문화사적, 정신문명사적으로 매우 유서 깊은 곳이다.
[전법의 신승 마라난타 존자]
인도 간다라 출신 승려 마라난타 존자는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 동진에 이르렀으며
384년(백제 침류왕 원년) 백제에 도래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삼국사지, 삼국유사, 해동고승전에 기록되어 있다.
해동고승전에는 '석 마라난타는 인도 출신의 승려이다. 그는 신통한 힘을 지녀 온갖 일을 해내는데, 그 능력을 헤아릴 수 없었다. 스님은 불교를 전파하는 데 뜻을 두어, 여기저기 떠돌아 다니면서 교화하였다.'라는 기록이 있다.
마라난타 존자의 불교 전래로 인하여 백제에 불교가 빠르게 전파되었으며, 웅혼하고 찬란했던 백제 불교문화의 서막이 열리게 되었다.
[사면대불상]
아미타불을 주존불로 모시고 관음세지 보살을 좌우보처로, 그리고 마라난타존자가 부처님을 받들고 있는 모습을 다른 한면에 배치한 사면불로서, 약식 석굴사우너 형식을 띤 독특한 형태의 간다라 양식 사면대불(높이 23.7m)이 세워져 있다.
[탑원]
간다라 지역 사원 유구 가운데 가장 잘 남아있는 탁트히바히 사원의 주탑원을 본떠서 조성한 탑원으로서 마라난타존자의 출신지인 간다라 사원 양식의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간다라 유물관]
대승불교 문화의 본 고장인 간다라의 2C~5C경의 불전도 부조 및 불상 등 진품유물을 전시하여 간다라 불교 문화예술의 특징적 요소를 직접 관람하고 느낄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건축 양식도 간다라 건축 요소를 담아내도록 하였다.